관리 메뉴

대명한의원

안면마비 본문

한방 안,이비인후과/안면마비,이명,어지럼증,이석증

안면마비

사과향~기 2024. 11. 29. 17:59

안면마비의 원인

 

우리 몸에는 뇌와 신체의 각 부분 정보를 교환하는 역할을 하는 12쌍의 뇌신경이 존재한다.

그 중 안면부 근육운동과 미각, 타액 분비 등의 영역을 관장하는 7번 신경이 손상돼 발생하는 질환이 안면마비다.

안면마비는 크게 중추성 안면마비와 말초성 얼굴마비로 나뉜다.

안면신경이 뇌를 빠져나온 후에 이상이 생겨 마비가 나타나는 ‘말초성 얼굴마비’가 90% 이상을 차지하는데

특히 헤르페스 바이러스와 대상포진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에 안면신경이 손상되는 경우가 제일 흔하다.

 

안면신경이 뇌 속을 지나가는 경로에 이상이 생기는 ‘중추성 안면마비’는 5~10% 정도 되는데

대개 얼굴근육이 마비되는 것보다 다른 신경학적 증상이 더 심각하게 나타난다.

중추성은 대개 걸음걸이가 갑자기 변하거나 한쪽 팔, 다리의 힘이 빠져 기능을 하지 못하고

말이 어눌해지는 식의 증상이 함께 온다.

 

안면마비만 단독으로 왔다면 거의 말초성으로 보면 된다는 얘기다.

 

전문가들이 말하는 안면마비 치료의 골든타임은 48시간이다.

늦어도 양방에서는 72시간 이내 고용량 스테로이드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고 한다.

이 시기를 놓치면 후유증이나 영구 장애가 생길 확률이 높아진다.

최대한 빨리 병원을 내원해야 한다는 의미다.

대학병원 응급실을 찾아도  항바이러스제와 소염제만 몇가지 처방 받고 당일 퇴원 조치된다고 한다.

 

안면마비는 대부분 한쪽 얼굴에만 발생한다.

정상 쪽은 이마에 주름을 잡거나 눈을 감는 등의 움직임이 가능하기 때문에 얼굴이 전반적으로 돌아간 것처럼 보인다.

마비된 쪽은 이마부터 입까지 주름을 잡을 수 없고

한쪽 입을 움직이기 어려워 양치를 하거나 식사를 할 때 그 방향으로 침이나 음식물을 흘리기 쉽다.

웃을 때 마비가 온 쪽의 입꼬리가 올라가질 않아 비웃는 것처럼 보이거나

한쪽 눈이 잘 감기지 않아 눈이 뻑뻑하고 흐려 보일 수 있다.

그로 인해 시력이 점점 떨어져도 모를 수 있어 안구를 보호하는 게 중요하다.

고막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소리가 울리게 들리는 느낌이 날 수도 있다.

 

양방에서 하는 치료

보툴리늄톡신 주사, 도수치료 등을 진행하다가 치료가 더디면, 

아랫입술 내림근 절제술, 선택적 안면신경 차단술로 치료를 진행한다.

흔히 보톡스라고 불리는 보툴리눔톡신 주사는 마비가 온 쪽 얼굴 근육의 힘을 기르도록 도와주고

안면신경 재생을 자극한다.

증상 발생으로부터 4주 이내에 큰 호전이 없을 때

소량의 보툴리눔톡신을 정상 쪽 얼굴 여러 군데 나눠 주사하면

얼굴 비대칭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급성기 이후 도수치료 같은 안면 재활치료를 꾸준히 시행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한다.

안면신경마비의 후유증. 사진 제공=한림대 동탄성심병원

정상 신경과 손상된 신경, 잘못 재생된 신경의 예시. 사진 제공=한림대 동탄성심병원

 

대명한의원에서 안면마비 치료

 

 

 한방에서는 수술없이

큰 비용 들이지 않고 건강보험이 적용이 되는 침치료와 한약치료가 있습니다.

안면마비에 적용되는 침치료는

뇌의 기능을 활성화 시켜서 자가회복되는 능력을 키우게 하고,

 

 

 건강보험이 적용이 되는 한약치료는 

뇌의 혈류량을 증가시켜  뇌의 기능을 활성화하는 중요한 기능을 합니다.

또한,  경직된 근육을 이완시키고  신경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마비된 근육의 본래 기능을 복원 시킵니다.

2024년부터 

뇌혈관후휴증, 안면마비, 월경통, 기능성 소화불량, 알레르기성 비염, 허리디스크 6가지 증상에 한해

본인부담금 30%로 1년에 20일분 복용할 수 있는 혜택이 있습니다.

안면마비증상이 나타나는 즉시 침치료와 한약치료를 적극적으로 하시면,

큰 비용 부담없이 거의 90% 이상 건강하게 치료 하실 수 있습니다.

 

 

다음뉴스에서 도움받았습니다.

'한방 안,이비인후과 > 안면마비,이명,어지럼증,이석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명.난청  (3) 2024.10.31
어지럼증  (0) 2022.06.20
안면마비 첩약급여시행  (0) 2020.11.24
안면경련,안면마비(구안와사)  (0) 2019.10.01
이석증  (0) 2019.06.10
Comments